어젯밤에는 아이폰이랑 아이패드 ios 업데이트 하느라 ㅋㅋ 글을 못 쓰고 그냥 잠들었다.
처음으로 에두아르 투빈 (Eduard Tubin : 에스토니아 출신의 20세기 작곡가인데 정확한 발음은 모르겠다.) 의 음악을 접했다. 단악장으로 된, 아니 그렇게 되었다기 보다는 미완성으로 남은 교향곡이었는데 번호가 11번이라 놀랐다. 내가 몰랐던 작곡가라고 해서 그가 11편의 교향곡을 남겼다는 것이 놀라울 것은 없는데 말이다.
네메 예르비도 즐겨 연주하던 작곡가인 것 같다. 이날 들은 11번 교향곡이 무척 마음에 들어 아마존을 찾아보니 전집이 하나 있는데 네메 예르비의 것이었다. 무척 세련되고 힘있고 신선한 곡이었다.

내 앞 옆으로 삥 둘러 음악학교 학생으로 보이는 애들이 쭉 앉았는데 콘서트마스터인 Roland Daugareil 가 들어오자 마치 아인트호벤 사람들이 위숭빠레 ㅋㅋ 했던 것 처럼 로올렁 로올렁 하고 이상한 딱다구리 같은 소리를 일제히 내서 너무 웃겼다. 아마도 도갸레이의 제자였거나 제자인 모양이다. 웃음을 참느라 조금 힘들었다.

지난 금요일부터 쓰려고 잡고 있던 글인데 몸살 때문에 결국 일요일인 오늘까지 와버렸다.
무슨 말을 쓰려고 했었는지 점점 흐릿해져간다. ㅠ
어쨌든 카바코스의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은 내가 라이브로 들은 연주 중에 단연 최고였는데 (그리 많지야 않지만), 지난번 스베틀린 루세프도 대단했지만 아무래도 한치의 어긋남도 없는 정교함과 간결함, 콘트라스트가 그리 과장되지 않으면서도 명확한 기승전결은 정말 거장의 그것이라 할 만 했다.
무대 바로 앞 두번째 줄 가운데 자리에 앉아서 바이올린의 독주에 더 집중할 수 있었기 때문에 더 잘 들렸는지도 모르겠다. 매번 자리가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그래도 이번에는 정말 들을 수 있는 최고를 들었다는 실감이 확 났다. 정말 눈물을 글썽일 뻔 했던 것은 이번이 아니라 루세프 때였다. 이상하게도 이번에는 그런 벅찬 감동 때문에 울컥하는 일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온 몸과 마음으로 집중하며 감사하며 행복하게 들을 수 있었다.

2부에는 26세에 요절한 Hans Rott 라는 작곡가의 교향곡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연주 시간이 60분이라는 것을 보고 고민하다 그냥 귀가했다. 이 날 오전에도 수업이 있어서 보리를 네시간 가까이 집에 혼자 두었었는데 저녁에도 그렇게 오래 떠나있기가 영 마음에 걸려서였다. 조금 아쉬웠지만 대신 Tubin의 11번 교향곡을 알게된 것으로 위안을 삼는다.



AND


집에 서둘러 돌아와 바로 보리를 크레이트에서 꺼내주고, 물 한잔을 들이키고, 설거지를 하고, 씻고, 컴퓨터 앞에 앉았다. 집에 혼자 있을 보리가 안타까워 첫번째 커튼콜에 부리나케 집으로 내달렸는데 이녀석은 내가 와도 한 5초 동안 간략히 신나하다가 이내 자기 할 일 (= 소가죽 개껌 뜯기) 에 몰두한다. 이 배신감... ㅋㅋㅋ 덕분에 나도 편하게 내 할 일을 한다.

2011/12 시즌 처음으로 보게 되는 공연이었다. Orchestre de Paris를 통해 정말 부담없는 가격(5유로)에 구입한 티켓이었지만 나름 기대도 컸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피아노 콘체르토 중 하나인 쇼팽 2번과 베토벤 교향곡 5번이 편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협연자인 카시아 부냐티쉬빌리에 대해서는 젊다는 것 외에는 아무런 정보도 없고 사실 뭐 아무래도 좋았다. 예르비의 5번을 꼭 실제로 들어보고 싶기도 했고. 전에 뉴욕필에서였나? 무슨 어디 클래식 라디오 채널에서였나 예르비와 뉴욕필(아마도)의 5번 라이브 음원을 무료로 공개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아주 인상깊게 들었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러닝타임이 비교적 짧다 : 보리에게 빨리 돌아갈 수 있다. 좋아.

첫 곡인 베를리오즈의 Ouverture du Corsaire 도 절대 나쁘지 않았다. 그냥 왠지 무대를 여는 첫 곡으로는 약간 정신없다는 느낌을 받았다. 아직 내가 방학에서 돌아오지 못한 탓인지, 집중이 좀 안됐다. 어쨌든 나는 베를리오즈를 좋아한다. 독보적인 스타일이다. 이런 곡은 베를리오즈밖에 쓰지 못한다.

고대하던 쇼팽 2번. 피아니스트가 들어오는데 와 깜짝 놀랐다. 그루지야 출신의 87년생 (사실 이젠 그렇게 어린 나이도 아니구나. 나보다 두살이나 어린데.) 여성 피아니스트인데, 외모만 보면 무슨 흑백시절 여배우라고 해도 믿을 고혹적인 분위기를 갖고 있었다. 여자인 내가 봐도 입이 딱 벌어졌는데. 남자 관객들은 좀 많이 놀랐을 것 같다. 그래서인지 실력에 비해 박수와 환호도 왠지 더 받은 느낌이다. 흉보려는 건 아니고 당연한 거라고 생각한다. 그냥 연주하는 모습만 봐도 포스가 대단했다.
오랜만에 느끼하고 존재감 강한 Steinway & Sons 피아노를 들으니 기분이 좋기도 하고 좀 이상했다. 뭔가 타임머신을 타고 예전으로 돌아온 느낌. 무언가 보이지 않는 힘이 나를 결국 플레이옐 이 자리로 다시 끌어다 앉혀놓은 기분이 들었다. 그만큼 이제 공연을 보러 다닌 햇수도 꽤 되었고 특히 이 피아노 소리의 마력에 스스로를 무디게하고 길들여 온 노력도 많이 쌓여, 이젠 관객석 불이 꺼지기만 해도 스타인웨이 뚜껑을 젖히기만 해도 내 몸이 최적의 자세를 저절로 찾아가는 것 같다. 뭐 그냥 나의 바람일 수도 있고.
피아노 연주는 정작 그냥 그랬다. 내 귀에 많이 선 느끼한 스타일이었고 특히 1, 3악장 도입부에서 성급하게 윗 노트들을 대충 쳐넘긴 것은 참 별로였다. 2악장은 그냥... 대단한 특징은 없었다. 감정 과잉의 선을 위태위태하게 밟고 타는 연주로 느껴졌는데 듣기 편치 않았다. 기름에 절인 포도알 같은 느낌. 하지만 예쁘긴 참 예쁘더라.
앵콜곡으로 리스트 (올해는 리스트의 해!)의 Rêve d'amour 를 들려주었는데, 이건 정말 너무 심해서 내가 오죽하면 항의의 표시로 박수도 치지 않았다. 이렇게 연주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원곡의 깊이도, 생동감도, 처연함도, 달콤함도 온데간데 없다. 하다못해 악보에 대한, 곡의 "형식"마저도 존중하지 않는다는 의심이 들었다. 파괴적이고, 지루했다.

베토벤 5번은 좋았다. 앗쌀한 도입부가 참 마음에 들었다. 묵직하면서도 날이 선 첼로의 존재감이 대단했다. 파리 오케스트라의 첼로 앞자리 두사람은 예전부터 눈여겨보고 있었는데, 오늘 (내 귀에) 만족스러운 베토벤 연주에는 첼로 파트의 공이 컸다. 내가 사랑하는 4악장도 훌륭하게 그려내 주었다. 이제와 말하지만 파보 예르비는 (들라노에와 더불어) 파리의 보물같다. 멋진 지휘자다.

오늘 오랜만에, 3개월 만에 플레이옐에 가서 예르비를 보며 새삼스럽게 지휘자의 손에 대해 깊이 생각을 했다. 음악을 만드는 손. 지휘자의 지난 세월들이 다 그 손에 묻어난다. 그 손 끝에 아리도록 깊게 배인 힘과 자신감이 오늘따라 무척 또렷하게 보였다.
내가 과연 무엇의 지휘자가 될 수 있을까? 지휘자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무언가를 해야겠다.
지금의 나로 출발해서 저 정도의 지휘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으로 내게 주어진 일을 하고 싶다.
아무것도 지휘할 수 없는, 어떤 음악도 만들 수 없는 사람이 되고 싶지 않다.


AND



파보 예르비가 이끄는
파리 오케스트라 그리고 나와 동갑인 폴란드의 피아니스트 라파우 블레하치의 연주회에 와있다.

하이든의 교향곡 88번은 소규모 연주여서 인지 소리가 조금 비어보였으나 주법이 신선하고 재미있었다. 2악장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블레하치가 이어서 들려준 베토벤의 피아노 콘체르토 4번은 음... 뭐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다. 정말 좋았다.
블레하치는 곧 없어질 것만 같은 콩알만한 작은 얼굴에, 바람에 날릴 만큼 체구도 조그맣다. 숱많은 다갈색 머리카락에 얼굴이 가려 그나마도 잘 보이지도 않는다. 그런 앳된 겉모습과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소년같은. 그야말로 소년같은, 얌전하고 섬세한 연주를 한다. 피아노 건반을 중앙에서 반으로 갈랐을 때 오른쪽 높은 음들을 그만큼 아름답게 연주하는 사람은 아마도 많지 않을 것이다. 귀가 번쩍 뜨일 정도...
파리 오케스트라의 조금 작은 듯한 음량도 다감한 피아노 연주에 무척 잘 어울렸다.
더군다나, 4번과 그닥 친숙하지 않은 나 조차도 눈치챌 수 있을 정도로, 해석이 남달랐다. 여기는 느낌표를 팍 찍어주고 싶다. 현대 피아노 곡을 연상시킬 정도로. 정확히 어떤 부분이었는지 집어서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이 안타깝다. 좋고 나쁘고를 떠나 일단 또래 연주자들보다 훨씬 배짱이 있는 것 같아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다. 사실 그가 뭔가 트릭! 을 썼다는 것은 직접 편곡한 듯한 무척 신선한 앵콜 곡들을 듣고 나서 더 확신하게 되었는데, 이 사람이 오늘 프로그램 내내 일관된 무언가를 보여주려 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3악장에선 특히 피아노와 오케스트라의 호흡이 더 좋아져서인지. 음. 감동적이었다.
왠지 이 블레하치라는 피아니스트는 원숙한 나이가 되면 누구라도 먼저 손에 꼽을 대단한 연주자가 될 것 같다. 이젠 예언까지.

심지어 지금 웃긴 것은 내가 오늘 도서관갔다 집에 오는 버스에서 옆자리에 앉으셨던 할머니가 지금 플레이옐에서 내 뒷 열에 앉아계시다는 사실이다. 얼굴도 얼굴이지만 흔히 볼 수없는 독특한 안경에 같은 핸드백에 거기다 같은 수첩을 가지고 계시다. 버스 안에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면서 수첩을 (죄송하지만) 눈여겨 보았었기 때문에 틀림없다. 같이 오신 친구분들이 부르시는 걸 들으니 성함은 테레즈라고 한다. 버스에서 우연히 옆에 앉은 할머니에 대해 의도치않게 정말 많은 것을 알게 되었구나.

여기부턴 집에 돌아와서 쓴다.

프랑크의 d minor 심포니는 그런데 심지어 베토벤 협주곡보다 하이든보다 훨씬 더 대단했다. 무서운 예르비....... 보니까 베토벤도 그렇고 시벨리우스, 오늘 연주한 프랑크, 이런 느낌 곡들을 잘 하는 것 같다. 볼 수록 괜찮다. 볼매야 볼매. 영화음악 같기도 하고 아 너무너무 멋있는 곡이었다. 영화음악 같다는 것은, 내게 있어서는, 굳이 풀이를 하자면 뭔가 이야기가 있을 것 같은, 기승전결이 뚜렷한, 장면 장면이 눈 앞에 그려지는, 적어도 풍경이 눈 앞에 펼쳐지는 느낌을 갖게 하는 그런 곡들이다. 닥치는대로 듣다보니 유독 그런 곡들이 있더라. 1악장에서 이미 기선제압을 하고. 2악장에서는 클라리넷을 필두로 한 관악기들과 하프로 할 말을 잃게 만들었다. 입이 떡 벌어지지만 뭐라 말을 할  수 없다. 3악장에서는 확인사살. 잉..말이 너무 무섭다. 근데 아무튼 뭐라고 해야하지. 그래. 쐐기를 박는다. 그래도 무섭네. 잠시 mute 한 다음에 이윽고 레퀴엠 같은 분위기로 무겁게 가라앉힐 때. 혼자 박차고 일어나 브라보를 외치고 싶었을 정도. 그랬다면 내가 나를 용서할 수 없었겠지.
근데 다시 말하지만 2악장은 최고였다. 클라리넷 신들린 것 같았다. 워낙 곡을 잘 쓴 것 같다.
집에 와서 바로 열심히 다시 듣고 있는 중. 곡 진짜 멋지다.
우리집 바로 옆에 세자르 프랑크가 살았던 길 (rue César Franck) 이 있어서 왠지 더 반갑다.

오늘 공연은 사실 예전에 미리 예약했던 것이 아니고. 별로 생각 없었다가 얼마전에 루브르에서 루브르 carte jeune 회원들에게 할인 혜택을 준다고 지금 빨리 예매하라고 해서. 왠지 이런 혜택은 꼭 챙겨야만 할 것 같은 기분에 13유로 주고 뒤늦게 표를 샀었던 것이다. 평소보다 4유로 더 내고 본 거지만 이렇게 좋은 공연이기만 하다면. (요즘 긴축재정이라 4유로 유독 크게 느껴진다.) 28세가 되기 전에 정말 플레이옐에서 하는 공연은 될 수 있으면 다 보고싶다. ㅠ그냥 그 앞에 텐트치고 살아야 할까봐.
AND



내일 일찍 일어나야 되는데... 10분 안에 글을 쓰고 침대로 뛰어가는 것을 목표로.조금 안타깝지만.

오늘 첫 곡으로는 Arvo Pärt의 "Silhouette"라는 곡의 초연이 있었다.
아빠가 얼마전 정명훈의 지휘로 페르트(라고 읽나)의 곡을 듣고 굉장히 좋았다고 하셔서 작곡가 이름을 기억하고 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오늘 보러가길 참 잘한 거 같다.
프낙에 달려가 더 베리 베스트 오브 아르보 페르트 따위의 음반을 살지도.
왈츠 박자에 (뭐 춤곡이라는 느낌은 그다지 들지 않지만) 현이 굉장히 아름다운 가볍고 세련된 곡이었다. 이 곳에서 현대 곡들을 상당수 접할 기회가 있었지만 늘 왜 현대음악은 꼭...선율이 없어야 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들었는데 (특히 루이지 논노 ㅠ으악) 페르트의 곡은 정말 좋았다.
잘 모르지만 뭐 고전 음악의 맥을 이어나가면서도 신선하고 시대 감각에 충실한 곡이 아닌가 싶다
귀스타브 에펠과 에펠탑의 이미지로 쓴 곡이라는데, 이번 시즌부터 파리 오케스트라에 음악감독으로 취임한 파보 예르비와 그의 오케스트라에 헌정되었다.
곡이 끝나자 1935년생의 훤칠하면서도 소탈한 인상을 한 작곡가 본인이 무대로 뛰어 올라와 박수 갈채를 받았다. 저 오늘부터 팬이예요..

레온스카야 아주머니의 피아노는 공연에서는 두번째 듣는다. 라디오에서는 많이 들었지만
son allure d'une "grande dame" contrastée par un visage avenant et tout souriant,
커다란 꽃무늬가 있는 풍성한 스커트를 좋아하시는 것 같다.
그리고 피아노는 leonskaja같이...그녀의 피아노에는 사자같은 위엄이 있다.
다채로운 터치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줄 알지만 기본적으로 묵직한 톤을 낸다.
저번 실내악 공연에서도 그렇고, 다만, 뭔가 아직 특별한 무언가는 느껴지지 않는다.
리히터와 음악적으로도 실제 친구로서도 가까운 사이였다던데 리히터와는 많이 다르다.
그리그의 콘체르토는 썩 잘 어울렸지만... 역시 뭔가 음 참 잘 연주되었다! 마침표. 라는 느낌
그리그의 곡은 정말 멋지다. 정말 정말 매력적인 음악이다.

그리고 마지막 시벨리우스 교향곡 2번
아 어서 자야하는데
시벨리우스의 곡들을 제대로 들어본 일이 한번도 없는 나는 사실 이 마지막 곡에 굉장히 기대를 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들어온 교향곡들과는 짜임새부터가 사뭇 달라 처음부터 집중해서 듣게 되었고 그래서인지 지루한 느낌이 전혀 없었다.
주로 듣는 베토벤이나 브람스, 차이코프스키 등의 교향곡들, 내면의 어떤 감정의 호소, 분출, 독백의 음악과는 아주 출발부터가 다르다고 나는 생각했는데, 굉장히 외향적이고 선이 굵어, 엄숙하면서도 소박한 독특한 정감이 있었다. 듣는 사람이 쪼그매지는 기분
마지막 악장의 피날레에서는 와 역시 이 맛에 산다 는 느낌 하하
전율 그 자체. 이래야지. 으. 멋지다.
알고보니 아버지 예르비가 시벨리우스 교향곡에 아주 강하시다고.
아드님 예르비는 아무리 봐도 타인의 삶에 나오는 비즐러와 인상이 자꾸 겹친다. 눈썹이 좀더 연한가? 나는 평생 음악따위는 몰라도 사는데 불편함은 없었네 하고 딱잘라 말할 것 같은 뻣뻣한 얼굴을 하고 있는데... 오늘 공연에서 각기춤 같은 우스꽝스러운 동작도 개의치않는 열정적인 지휘와 또 기분 좋아 웃으시는 걸 보니 음 역시 피끓는 음악인이군 싶었다.




+ 아르떼 라이브웹에 올라온 실황 영상. 좋다
아이고 기침들 좀 그만하시라고요 ..



+ 레온스카야가 연주한 앵콜곡은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F Major 중 아다지오 악장이었음.
옆자리 사람들이랑 대체 무슨 곡이었는가 궁금해했는데 어떤 아저씨는 슈만이라고 하고 나는 모차르트일거라고 했었다. 왼손이 계속 모차르트 반주여서......프랑스사람들을 이런걸로 이기는게 제일 기분 좋다. ㅋㅋ유치하지만
히히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