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갑자기 너무 추워서 방금 밤 아홉시 반쯤 산책을 나갔을 때는 털모자를 써야 했다.
하지만 장갑까지 꼈다면 좀 더웠을 것 같기도...
내일 모레는 하필이면 수업 두 개가 연달아 있는 바람에 아침 9시부터 저녁 8시까지 집을 비워야 해서 보리가 조금 마음에 걸린다. 뭐 조금 힘들더라도 알아서 잘 있겠지만... 못내 걱정이 되어 친한 친구에게 오후 쯤 우리집에 좀 와서 책 읽고 차 마시고 있어줄 수 있을지 부탁을 해두었다.
보리가 없어서 하루종일 내 마음대로 밖을 쏘다녀도 되었던 때가 언제였나 싶다.
그때보다 지금이 나쁘다는 뜻은 절대 아니고 그냥 그런 적이 있었구나, 새삼 깨닫는 정도다.

보리랑 산책할 때 제일 기분 좋은 순간은 둘이서 같은 속도로 나란히 뛸 때다.
보리는 내가 뛰면 같이 뛰고 서면 자기도 선다. 나랑 보조를 맞춰서 걷는 이 네발 짐승 이럴 때 정말 아빠 말대로 종(種)을 뛰어넘는 순수한 마음의 교감을 느낀다. 이 밖에도 기분이 너무 좋아 마음이 벅차오르는 순간이 꽤 많이 있지만서도. 보리랑 뛰는 게 정말 즐겁다. 방금은 너무 열심히 뛴 나머지 큰 털모자가 내 눈을 덮을 정도로 내려와서 곤란했다.

오늘은 루브르에서 1996년, 전설적(?)인 큐레이터이자 교수였던 Louis Courajod 루이 꾸라조의 사망 100주년을 맞아 열었던 콜로키움의 자료집 "Un combat pour la sculpture" 를 읽었다. 사실 작년에도 여러번 들여다 보았던 책이지만 그때랑은 조금 다른 목적으로 다른 시각으로 읽으니 또 달랐다. 골치가 아프기는 마찬가지이지만.
이 루이 꾸라조는 내가 굉장히 좋아하는 인물 중 하나인데 참으로 프로페셔널하지 못하게도 나는 누군가의 문체, 결국은 글이겠지만, 어조에 감동을 받으면 그 사람을 학자로서 존경하게 되는 것 같다. 물론 꾸라조는 워낙에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훌륭한 학자이지만 내가 그를 좋아하게 된 것은 그의 점잖지만 확신에 찬, 혹은 결의에 찬 어조에 감명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굳이 말하자면 누군가의 업적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평가했을 때보다는 글의 문학적인 요소들에서 좋다 혹은 싫다는 판단을 하게 되는 것 같다는 말이다. 이래서 나는 선행연구 분석 (historiographie)을 잘 못하는 것 같다. 더군다나 이번 논문은 주로 한 사람의 저작과 활동에 대해서 연구하는 거의 monographie 에 가까운 것이 되어야 하는데. 이렇게까지 말하기는 싫지만 감정적으로 생각해서 글을 쓰면 아주 엉망진창이 될 텐데 좀 주의해야 할 것 같다.
어쨌든 나는 꾸라조의 루브르학교 강의록을 소장하고 싶어서 구입했을 정도로 그의 말과 글을 좋아한다. 좋아하는 데는 무엇이 되었든 간에 이유가 있겠지. 그리고 내가 그 이유를 또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게 되면 되는 거 아니겠나 일단은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부터 읽을 것은 Elizabeth Emery 와 Laura Morowitz가 함께 쓴 "Consuming the Past : The Medieval Revival in fin-de-siecle France" 라는 2003년 책으로 지금까지 나온 (+ 내가 접한) 학술서들중에선 내 관심 분야와 가장 많이 근접해있는데, 그래서 좀 읽기가 무섭다. ㅎㅎ내가 하려고 했던 말들이 다 들어있을까봐 조마조마. 그래도 이 책은 박물관학이나 박물관, 전시 史 의 관점에서"만" 다루고 있는 건 아니니까.......구멍이 있겠지 어딘가.!

이 글을 쓰다가 문득 보니 내가 잘 보이는 위치에 어느새 자리를 잡고 누운 보리가 너무 사랑스럽다.

관악기들의 매력을 몰랐는데 요즘 클라리넷과 바순이 너무 좋다.
얼마전 라디오클라식의 passion classique에서 Michel Portal 이 본인이 옛날에 연주했던 모차르트 클라리넷 오중주를 들려주었는데 갑자기 마음에 확 들어왔다. 방금도 무슨 바순 콘체르토인가를 들었는데 좋았다. 이름을 확인해 본다는 걸 놓쳤네. 그래도 바순은 나는 교향곡이나 관현악곡에서 듣는 게 훨씬 좋더라. 클라리넷은 독주로 들을 때 더 오묘한 맛이 있는 것 같다.
이건 또 다른 악기지만 얼마전 Laurent Korcia의 신보에 들어있는 코른골트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듣고 정말 깜짝 놀랐다 너무 좋아서. 그런데 하이페츠가 본좌 ㅎㅎ라기에 찾아 들어보니 역시... 근데 코르시아의 매끈하고 풍성한 새 녹음도 편히 듣기에는 좋더라.
AND